DispatchServlet2 스프링부트 개념정리(5) - 스프링 컨테이너 (7)스프링 컨테이너 DispatchServlet에 의해 생성되어지는 수 많은 객체들은 어디에서 관리될까? 첫째, ApplicationContext 수 많은 객체들이 ApplicationContext에 등록된다. 이것을 IoC라고 한다. IoC란 제어의 역전을 의미한다. 개발자가 직접 new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게 된다면 해당 객체를 가르키는 레퍼런스 변수를 관리하기 어렵다. 그래서 스프링이 직접 해당 객체를 관리한다. 이때 우리는 주소를 몰라도 된다. 왜냐하면 필요할 때 DI하면 되기 때문이다. DI를 의존성 주입이라고 한다. 필요한 곳에서 ApplicationContext에 접근하여 필요한 객체를 가져올 수 있다. ApplicationContext는 싱글톤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어디에서 접근하든 동일한.. 2023. 12. 27. 스프링부트 개념정리(4) - web.xml (3) web.xml (약간 문지기 같은 애) -ServletContext의 초기 파라미터 -Session의 유효시간 설정 -Servlet/JSP에 대한 정의 -Servlet/JSP 매핑 -Mime Type 매핑 get 방식의 요청은 데이터를 들고 오지 않는다. 클라이언트가 들고온 데이터 타입 체크해서 가공, 매핑 -Welcome File list 아무 이유없이 들어온 애들 모아놓는 곳 설정함 -Error Pages 처리 -리스너/필터 설정 필터 : 들어온 애 신분 확인해서 걸러내는 것 리스너 : 문지기 대리인 역할 -보안 이상한 애 들어오면 쫓아보냄 -여기에서 Servlet/JSP 매핑시(web.xml에 직접 매핑 or @WebServlet 어노테이션 사용)에 모든 클래스에 매핑을 적용시키기에는 코드가.. 2023. 12.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