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포넌트
- Catalina : Servet Container : Java EE Container. Servlet-JSP Processing (Realm)
- Coyote : HTTP 1.1 protocol Web Server : Web Browser 와 Server 간의 HTTP 통신(Req/Res)을 담당
- Jasper : JSP Engine : JSP의 실행/해석
- Cluster : Load-Balancing, Session-Clustering

Request 요청시 Server → Service → Engine → Host → Context → Wrapper 순을 거쳐 Servet/JSP 가 실행

- bin : Tomcat 바이너리와 시작 스크립트.
- conf : webapps 에 적용하는 전역 설정. 설치시 다음을 기본으로 제공
- 정책파일(Policy File) : catalina.policy
- 등록정보파일(Properties File) : catalina.properties, logging.properties
- 구성파일 (Configuration XML File)
- server.xml (Tomcat 주 설정 파일)
- web.xml (웹 어플리케이션 배포 descriptors)
- context.xml (global Tomcat-specific configuration)
- tomcat-users.xml (인증 및 접근제어를 위한 유저/패스워드/권한 데이터베이스
- lib : tomcat에서 사용하는 jar 파일 모음
- log
- 엔진 로그 : Catalina.{yyyy-mm-dd}.log
- 호스트 로그 : localhost.{yyyy-mm-dd}.log
- 그외 어플리케이션 로그 : manger and host-manager , Accescc log
- webapps : 기본디렉토리 (localhost)
- work : 컴파일된 파일
- temp : 톰캣 실행되는 동안 임시 파일 위치
/bin
- catalina - startup.sh나, shutdown.sh을 실행하게 되면 내부적으로 catalina가 실행된다. 즉 톰캣이 실행 및 정지가 된다.
- startup - 실행. 내부적으로 catalina.bat를 실행
- shutdown - 정지. 내부적으로 catalina.bat를 실행
/conf
- Sever.xml - 서버설정 (커넥션명, 호스트명, 포트번호 등의 설정) . 톰캣의 메인 config 파일이다. 자바 서블릿 스펙에 지정된 계층적 문법을 사용하여, 카탈리나의 초기 상태 구성, 톰캣을 부팅하고 구성 요소의 빌드 순서를 정의한다.
- web.xml - 가장 먼저 읽는 파일. web.xml 로 uri 요청시 어떤식으로 반응할지에 대한 설정이 주를 이룬다. 이 파일은 톰캣 내에 2개의 파일이 존재한다.
- <CATALINA_HOME>\conf\web.xml : 전역 설정 파일
- 디렉토리 목록 : url 접근시 디렉토리 목록의 사용여부 결정
- 웰컴 페이지 설정 : url 접근시 사용할 첫 페이지를 설정
- 자동 서블릿 리로드 : 서블릿이 재컴파일 되었을 때 자동으로 리로드할지 여부를 설정
- 특정 Webaapp 에 대한 디렉토리 목록 사용설정
- 웹 컨텍스트 루트 디렉토리 및 요청 URL 설정
- 기본 webapps 디렉토리 변경
- ContextRoot\WEB-INF\web.xml : 지역 설정 파일
- <CATALINA_HOME>\conf\web.xml : 전역 설정 파일
- context.xml - 톰캣에 구동되는 웹앱에 대해 로드될 정보들이다.
- tomcat-users.xml - 톰캣 서버의 많은 유저, 패스워드, 유저롤(role)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에 엑세스하는 신뢰된 영역(JNDI, JDBC 등) 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공부중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서버, was서버 (0) | 2024.04.22 |
---|---|
포트포워딩 (0) | 2024.04.08 |
방화벽, 인바운드(inbound), 아웃바운드(outbound) (0) | 2024.03.28 |
프로그래머스 lv.0 풀면서 (0) | 2024.01.31 |
인텔리제이 단축키 모음 (0) | 2023.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