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업은 기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코드의 구조만 변경한다. 기능이 추가되거나 바뀐 것은 없지만 이전보다 훨씬 깔끔해지고 미래의 변화에 좀 더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코드가 됐다. 이런 작업을 리팩토링이라고 한다.
리팩토링은 기존의 코드를 외부의 동작방식에는 변화 없이 내부 구조를 변경해서 재구성하는 작업 또는 기술을 말한다. 리팩토링을 하면 코드 내부의 설계가 개선되어 코드를 이해하기가 더 편해지고,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결국 생산성은 올라가고, 코드의 품질은 높아지며, 유지보수하기 용이해지고, 견고하면서도 유연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리팩토링이 절실히 필요한 코드의 늑징을 나쁜 냄새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중복된 코드는 매우 흔하게 발견되는 나쁜 냄새다. 이런 코드는 적절한 리팩토링 방법을 적용해 나쁜 냄새를 제거해줘야 한다.
리팩토링은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긴 하지만, 본격적으로 적용하자면 학습과 훈련이 필요하다. 나쁜 냄새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리팩토링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충분한 연습을 해두면 도움이 된다. 리팩토링을 공부할 때는 리팩토링에 관해 체계적으로 정리된 책이 있는데 뭐 그런거 알아보면 댐
'공부중 > 자바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ful API 모듈 (0) | 2024.04.04 |
---|---|
@SupperessWarnings 어노테이션 (0) | 2024.04.02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0) | 2024.03.11 |
GetMapping 과 PostMapping (0) | 2023.12.18 |
css적용이 안되던 날 (0) | 2023.12.11 |
댓글